분류 : 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넥스32 위키에서 가져왔으며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C-9800 시리즈는 NEC가 1980년대 ~ 1990년대에 걸쳐 판매한 일본 고유의 개인용 컴퓨터 기종이다. NEC가 발매한 PC-8801 시리즈의 후계 기종으로서 1982년 10월에 발매된 PC9801을 시작으로 여러 기종이 발매되어 일본의 PC시장을 주도하였다.
인텔 8086 호환의 CPU를 채택하고, MS-DOS를 채용하고 있으나 일반적인 IBM-PC와는 구조가 약간 달라 호환성은 없다. 때문에 일본 내에서의 지위에 비해 세계적인 인지도는 거의 전무하다. 인텔의 16비트 프로세서인 8086 호환 칩을 탑재하고 있었으나 IBM-PC와 마찬가지로 대체 CPU로 AMD의 칩을 사용한 경우도 있다. 85년 부터는 NEC에서 직접 생산한 8086 호환 프로세서인 V시리즈를 사용한 제품도 있다.
초기 PC-9801 모델의 CPU 클럭 속도는 5MHz 였으며, 메모리는 128KB가 제공, 최대 640KB까지 확장이 가능했다. 그래픽 처리기능을 위해 µPD7220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두 개 내장하고 있는데, 한 개는 텍스트 처리, 하 개는 기타 비디오 그래픽 처리를 했다. 기본 640*400 해상도에 8색 동시 출력이 가능했다. 이후 계속해서 순차적으로 연식이 올라가면서 스펙도 좋아지게 되는데, PC특유의 부품 교체 방식 등을 통해서 이미 가지고 있는 기기도 일부분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었다.
한국에서도 당시 그랬듯 PC9801또한 한자와 일본어를 표현하기 위해서 폰트 ROM을 내장하고 있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작한 MS-DOS와 BASIC 등을 함께 제공하였으며, 워드프로세서 등의 각종 전용 프로그램이 일본어로 선보이면서 애플이나 타사의 게임에 비해서 일반인에게 쉽게 접근하는데 성공했다. 시기적으로 기업이나 관공서 등의 전산화와 함께 급격히 증가한 수요를 빨아들여 시장 크기를 빠르게 확대했다.
전성기에는 일본의 PC시장 90% 가량을 점령하고 있었을 정도로 높은 점유율을 보이면서 일본의 국민 컴퓨터로 불리웠다. 기본적으로는 PC-9801로 통칭하여 부르지만 하이엔드 기종이라고 할 수 있는 코드 PC-9821이나 PC-H98 시리즈 등도 있다. 그러나 가격대의 문제가 커서 주력은 어디까지나 PC-9801이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95가 시장에 등장하여 IBM-PC 호환 기종이 브랜드나 호환성 문제로부터 자유로워져 사실상 독점 체제가 유지될 수 없게 되면서 시장의 뒤안길로 물러나게 되었다.
기종표기시 ‘PC98’정도로 표기를 하며, 통칭으로는 ‘98’의 발음인 ‘큐하치(キューハチ)' 혹은 발음을 세게 해서 ‘큐파치(キュッパチ)‘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는 PC-9801로 통칭하며 ‘구팔공일’로 읽는 것이 일반적이다.
1. 역사 ✎ ⊖
- 1982년, PC-9801 발매. 8086 CPU와 128KB의 메모리, 640 X 400 해상도, 8색 지원.
- 1983년 발매된 PC-9801E와 PC-9801F 등이 8086-2 모델의 CPU를 탑재하고 있었으며, 8MHz 클럭을 가지고 있었다.
- 1985년부터는 NEC에서 8086 호환 프로세서인 V 시리즈를 채택하면서 V30등의 CPU를 탑재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 1985년부터 그래픽 칩의 성능 향상과 비디오 메모리의 확장으로 4096색 중 16색을 출력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FM 음원이 추가되었다.
- 1986년부터는 80286과 80386 제품들을 선보이게 된다. 호환성 문제때문에 단독으로 80286이나 80386을 쓰기보다는 V30 등의 CPU를 같이 장착하는 경우가 많았다.
- 1986년 PC-98시리즈의 노트북 제품을 선보였다.
- 1990년대 들어서 저렴한 가격에 고성능을 즐길 수 있는 IBM-PC와 DOS/V 조합이 큰 붐을 일으킴. NEC는 이에 대항해 하이엔드 기종인 PC-9821을 선보임.
- 1993년 80486 칩을 장착한 제품을 선보이기 시작한다. AMD의 486SX 시리즈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이 시기에는 윈도우 3.0이나 윈도우 3.1 등을 지원했다.
- 1995년 윈도우95에 대응해 그래픽 가속기 등을 장착한 모델을 선보임
2. 게임 플랫폼 PC98 ✎ ⊖
원래 PC를 사면 공부한다고 사서 게임만 하게 되는 법. 이것은 일본도 예외가 아니었던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