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넥스32 위키에서 가져왔으며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OSたん
의인화(擬人化)(擬人化)라는 것은 친근하지 못한 것을 사람들에게 친근한 사람의 모양새로 바꿔줌으로써 원래의 성질에 접근하기 쉬운 특성을 더해주는 힘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동물들이나 톰과 제리 같은 캐릭터를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다. 일본에서는 이러한 의인화 캐릭터가 끊임없이 만들어지는데, 열차나 항공기 심지어는 먹을 것에까지 의인화 캐릭터가 만들어지고 있다.
OS땅이라는 것은 컴퓨터에서 활용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들을 의인화시킨 캐릭터라고 할 수 있다.
호칭인 ‘OS땅(OSたん)‘은 운영체제를 의미하는 Operation System에 일본어의 애칭에 붙이는 ちゃん을 어린아이들이 비음으로 발음하는 たん을 붙인 호칭이다. 국내에도 발매된 모에땅(もえたん)영단어 등을 통해서도 애칭에 붙이는 ‘땅’이라는 표현은 이미 적지 않게 알려진 바 있다.
OS땅 계열의 캐릭터는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혹은 소재화가 잘 되는 캐릭터를 중심으로 제작이 우선되었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주력으로 사용하는 x86프로세서 PC기반의 OS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社의 Windows 시리즈가 주종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윈도우걸(Windows girls)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 용어는 주로 외국에서 사용되며, 일본 내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OS땅이라는 표현보다는 윈도우걸이라는 표현이 좀 더 친숙하다. 그 외에도 외국에서 주로 불리는 호칭으로는 OS-Girl, OS소녀 등 여러가지 표현이 있지만, 지칭하는 바는 같다.
단 OS땅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는 후타바채널에서는 OS娘(OS무스메, 딸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자신들이 낳은 딸아이라는 느낌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도 후타바에서는 이 표현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 용어의 부작용…이랄까, 남성형 캐릭터인 OS息子(OS무스코, 아들) 시리즈를 낳기도 했다. 그러나 이쪽은 아무래도 남자만 있다보니 인기도가 크게 떨어지는 편.
목차
1. 기원
2. 목록
3. OS소년(OS息子)
4. OS땅이 일반에 미친 영향
4.1. 마도베 나나미 - 윈도우7 홍보소녀
4.2. 나나 자매 - Bing 홍보자매
5. 공식 오프닝
6. 공식 엔딩
1. 기원
2. 목록
3. OS소년(OS息子)
4. OS땅이 일반에 미친 영향
4.1. 마도베 나나미 - 윈도우7 홍보소녀
4.2. 나나 자매 - Bing 홍보자매
5. 공식 오프닝
6. 공식 엔딩
1. 기원 ✎ ⊖
지금의 OS땅의 모습이 생겨난 곳은 익명으로 그림을 올리는 게시판 형태의 커뮤니티 후타바채널(ふたば☆ちゃんねる) 내의 二次元裏@ふたば(통칭 “니지우라”)게시판이었다. 작자는 통칭 토시아키(としあき)로 불리우고 있지만, 이 이름은 정확하게 누군가를 지칭하는 이름이 아닌, 후타바채널의 니지우라 게시판 이름 입력란의 기본 핸들 네임이다. 후타바채널에서 따로 이름을 입력하지 않으면 토시아키라고 입력되는 것이 그 근원으로, 이를 통해 기본적으로 ‘OS땅의 주인은 토시아키’라는 공식은 있지만 그것이 특별히 누군가를 지칭하는 형태가 되지 않고 후타바 채널을 사용하는 모두를 지칭하는 형태의 설정이 되었다. 이는 넷캐릭터 계열의 거의 공통된 특징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미묘한 제작자의 존재 탓에 OS땅은 대부분 정확한 작자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설정 또한 대부분이 사람과 사람을 거치면서 굳어진 것을 토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저작권 또한 누군가에게 종속되어있지 않은 면이 크다. (ME땅 제외. ME땅은 원 작자(ME아키)가 밝혀져 있으며, 저작권도 행사 가능.)
OS땅 시리즈는 윈도우즈ME의 수많은 버그를 비꼬는 개그를 바탕으로 시작되었지만 그에 대한 호응도가 높았고, ME 이외의 윈도우에 대한 의인화가 활발히 이뤄져 어느새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 니지우라 게시판에서 자리를 잡으면서 이후 OS의인화 게시판이 분리될 정도의 인기를 모으게 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미묘한 제작자의 존재 탓에 OS땅은 대부분 정확한 작자가 정해져 있지 않으며, 설정 또한 대부분이 사람과 사람을 거치면서 굳어진 것을 토대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저작권 또한 누군가에게 종속되어있지 않은 면이 크다. (ME땅 제외. ME땅은 원 작자(ME아키)가 밝혀져 있으며, 저작권도 행사 가능.)
OS땅 시리즈는 윈도우즈ME의 수많은 버그를 비꼬는 개그를 바탕으로 시작되었지만 그에 대한 호응도가 높았고, ME 이외의 윈도우에 대한 의인화가 활발히 이뤄져 어느새 하나의 흐름을 만들어 니지우라 게시판에서 자리를 잡으면서 이후 OS의인화 게시판이 분리될 정도의 인기를 모으게 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2. 목록 ✎ ⊖
OS땅은 기본적으로는 윈도우 캐릭터들이 중심으로, 이는 동인 캐릭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많은 쪽이 캐릭터가 만들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아래는 OS땅의 목록이다. 원래는 이름 뒤에 땅을 붙이진 않는데, OS와 헷갈리지 않게 하기위해 땅을 붙여 구분하도록 한다.
윈도우7은 동인들이 뭘 그리기 전에 OS판매사에서 선수를 쳐서 만든 마도베 나나미 (窓辺ななみ)가 나왔고, 마이크로소프트 측에서 직접 만든 Bing 홍보를 위한 나나 자매도 있어 동인층에서 만든 캐릭터가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 못하다.
맥OS 계열은 아래와 같다.
아래는 OS땅의 목록이다. 원래는 이름 뒤에 땅을 붙이진 않는데, OS와 헷갈리지 않게 하기위해 땅을 붙여 구분하도록 한다.
OS | 캐릭터 | 호칭 | 특징 |
윈도우ME | Me땅 | 미땅, 미- | 도지코, 백치소녀, 보케 |
윈도우XP Professinal | XP Pro땅 | 엑스피땅, 페케피땅, 사세코 | 먹보, 보케 |
윈도우XP Home Edition | XP Home땅 | 호메코 | 동인녀, 쇼타콘 |
윈도우XP Media Center Edition | XP MCE땅 | 모세코 | 거유, 과묵소녀, 안경 |
윈도우2000 | 2k땅 | 니케이, 니케땅, 투케이땅(국내한정) | 안경, OL, 유능, 부지런 |
냐케이 | 냐케이, 냐케땅 | 고양이, 안경 | |
윈도우95 | 95땅 | 큐고땅, 구오땅(국내한정) | 검사, 사무라이, 유학생, 누님 |
윈도우98 | 98땅 | 큐쥬하치땅, 큐하치땅, 큐파치땅, 핫쨩, 구팔땅(국내한정) | 부끄럼쟁이, 쌍둥이 |
윈도우98 SE | 98 SE땅 | 큐하치에스이땅, 에스이땅, 세땅, 셋쨩 | 병따개, 위험! |
윈도우3.1 | 3.1땅 | 산텐이치땅, 오오바바사마, 바바, 할망구(국내한정), 할머님(국내한정) | 할멈, 로리, 고양이 사육 |
윈도우NT | NT땅 | 에느티, 엔티, 엔티마마, 마마, 엄마(국내한정) | 엄마계 |
이누티 | 이누티, 이누티땅 | 개, 와훙 | |
윈도우CE | CE땅 | 씨이땅, 씨땅 | 요정, 뇨도주의(…) |
윈도우 Vista | 비스보 | 비스보, 시노비스타 | 쿠노이치, 보쿠계소녀, 비공인 |
비스타케 | 비스타케 | 사신, 질투녀, 정원사, 비공인 | |
윈도우 Vista Home Basic | 치비스땅 | 치비스땅 치비스탕 | |
윈도우 Vista Business | VS코 | 비스코 | 에이전트 |
윈도우 Vista Ultimate | Long땅 | 롱땅, 론땅 | 롱혼, 머리가뿔 |
아르테마 | 아르테마씨 | 훌라후프 |
윈도우7은 동인들이 뭘 그리기 전에 OS판매사에서 선수를 쳐서 만든 마도베 나나미 (窓辺ななみ)가 나왔고, 마이크로소프트 측에서 직접 만든 Bing 홍보를 위한 나나 자매도 있어 동인층에서 만든 캐릭터가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 못하다.
맥OS 계열은 아래와 같다.
OS | 캐릭터 | 호칭 | 특징 |
MacOS | 맥OS땅 | 맥땅, 마쿠땅, 아포땅, 애플땅 | 머리위에 사과, 95땅과 숙적 |
MacOS 9 | 맥OS9땅 | 소나타, 소나타선생님, 큐네상 | 아가씨 |
MacOSX 10.0 | OSX치타땅 | 치타, 치땅 | 안대 |
MacOSX 10.1 | OSX푸마땅 | 푸땅, 푸쨩 | … |
MacOSX 10.2 | OSX재규어땅 | 재규어땅 | … |
MacOSX 10.3 | OSX팬서땅 | 팬서땅 | … |
MacOSX 10.4 | OSX타이거땅 | 타이거땅, 타이거사마 | … |
3. OS소년(OS息子) ✎ ⊖
앞서도 설명했듯 OS무스메에 대응하는 OS무스코는 OS땅의 남성화 캐릭터이다. 직접적으로 각 캐릭터의 남성화라기 보다는 완전 개별 캐릭터 취급을 하는 것이 특징.
4. OS땅이 일반에 미친 영향 ✎ ⊖
본래 출신이 네트웍상인 캐릭터를 일본에서는 ‘넷캐릭터(ネットキャラ)‘라고 부르는데, 이러한 출신의 캐릭터의 경우 한 때 유행을 하더라도 영향력이 감소하면 쉽게 잊혀지는 것이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OS땅의 경우는 출신 자체가 완전 오리지널에 상당히 다수의 사람들의 공감을 받아 완성이 되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로부터 긴 시간 사랑을 받았고, 다수의 2차 창작물을 낳으면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4.1. 마도베 나나미 - 윈도우7 홍보소녀 ✎ ⊖
이러한 영향력이 인정을 받은…것은 물론 아니겠지만, 일본에서 윈도우7이 발매될 때 홍보를 담당한 업체 중 하나인 테크노 얼라이언스 측에서 홍보의 일환으로 윈도우7 매니아라는 홈페이지를 운영하면서 성우 미즈키 나나를 영입하여 비공식 윈도우7 이미지 캐릭터인 ’마도베 나나미 (窓辺ななみ)‘를 만들어 홍보를 실시하였다. 이 캐릭터의 이름은 창문가(窓辺)의 나나미(ななみ)라는 의미로, 캐릭터 이름부터 뭔가 동인스러운 냄새를 풀풀풍기고 있는데, 캐릭터 디자인부터 생김새 등이 어느모로 보나 98땅과 2K땅을 합쳐서 만든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 게다가 검은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데, 이 또한 3.1땅의 그것을 그대로 차용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OS땅의 흐름을 그대로 이어받은 캐릭터이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서 OS땅의 팬들에게는 일반인에게 OS땅이 인식되는 계기를 기뻐하는 와중에도 까기를 잊지 않아야 했다.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서 OS땅의 팬들에게는 일반인에게 OS땅이 인식되는 계기를 기뻐하는 와중에도 까기를 잊지 않아야 했다.
4.2. 나나 자매 - Bing 홍보자매 ✎ ⊖
마도베 나나미 (窓辺ななみ)의 반응이 좋았던 탓인지, 일본 MS는 자사 검색사이트인 빙과 윈도우7을 동시에 홍보하기 위해서 나나 자매를 만들어서 홍보를 실시했다. 마도베 나나미가 어디까지나 외부 업체의 서비스에서만 등장한 캐릭터라는 것과 달리 이 나나-자매는 MS본사 서비스에 공식으로 등록된 캐릭터라는 것이 포인트로, 결국 MS가 공식적으로 OS땅을 받아들여 캐릭터화까지 실시했다는 것이 매우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잘 살펴보면 캐릭터 자체는 완전 동인삘 캐릭터들로 가득차 있어서 대략 정신이 멍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진짜 MS가 이런 것을 허가하고 공식으로 홍보했다는 것은 꽤 쇼킹한 일이긴 한데, 아마도 MS직원들이 이 캐릭터가 뭘 베이스로 만든 동인삘인지 아예 이해를 못하고 허가를 내줬을 것이라는 예상은 가능하다.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하지만 잘 살펴보면 캐릭터 자체는 완전 동인삘 캐릭터들로 가득차 있어서 대략 정신이 멍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진짜 MS가 이런 것을 허가하고 공식으로 홍보했다는 것은 꽤 쇼킹한 일이긴 한데, 아마도 MS직원들이 이 캐릭터가 뭘 베이스로 만든 동인삘인지 아예 이해를 못하고 허가를 내줬을 것이라는 예상은 가능하다.
캐릭터는 다음과 같다.
- 나나에
- 나나
- 나나코
- 나나미
- 나나오
5. 공식 오프닝 ✎ ⊖
우리나라의 일반인들에게 OS땅이 크게 알려지게 된 계기는 인터넷을 통해 플래쉬무비인 ‘트러블윈도우즈(とらぶるうぃんどうず)‘의 배포가 크게 영향을 끼쳤다.
이 플래쉬 무비는 국내 뿐 아니라 일본 및 해외에서도 OS땅에 대해서 크게 알리는 역할을 했다. 주로 후타바 채널 및 일부 커뮤니티를 통해서 일부에만 알려져있던 OS땅에 대한 내용을 일반인들이 쉽게 나열해주고 있으며,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빠르고 넓게 알리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플래쉬 무비의 자체 완성도도 매우 높은 편으로, 단지 플래쉬를 이용해서 구성된 영상물이 아닌, 후타바 채널 등에서 생성된 수많은 그림과 설정들을 조합한 퍼즐적 요소를 도입하여 화면 클릭에 따른 분기를 만들어 반복하여 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어, 인터랙티브 플래쉬 무비의 본보기라 할만하다 하겠다.
후에 이 무비는 후타바에서 트러블 윈도우즈의 공식 오프닝 무비로 인정 받기에 이른다. 만약 OS땅 애니메이션이 만들어진다면 오프닝으로 사용하자는 약속으로 정해진 것이다.
KOTOKO의 “さくらんぼキッス~爆発だも~ん~사쿠란보키스~폭발이지롱”을 개사한 “みれにあむキッス~Meだも~ん~(밀레니엄키스~ Me지롱~)“ 을 주제곡으로 삼고 있다.
이 노래는 이 무비의 인기에 힘입어 현재 한국 노래방에도 원곡 사쿠란보키스가 들어와 있다.(태진 질러 노래방 25865 번 곡)
이 플래쉬 무비는 국내 뿐 아니라 일본 및 해외에서도 OS땅에 대해서 크게 알리는 역할을 했다. 주로 후타바 채널 및 일부 커뮤니티를 통해서 일부에만 알려져있던 OS땅에 대한 내용을 일반인들이 쉽게 나열해주고 있으며,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빠르고 넓게 알리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플래쉬 무비의 자체 완성도도 매우 높은 편으로, 단지 플래쉬를 이용해서 구성된 영상물이 아닌, 후타바 채널 등에서 생성된 수많은 그림과 설정들을 조합한 퍼즐적 요소를 도입하여 화면 클릭에 따른 분기를 만들어 반복하여 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어, 인터랙티브 플래쉬 무비의 본보기라 할만하다 하겠다.
후에 이 무비는 후타바에서 트러블 윈도우즈의 공식 오프닝 무비로 인정 받기에 이른다. 만약 OS땅 애니메이션이 만들어진다면 오프닝으로 사용하자는 약속으로 정해진 것이다.
KOTOKO의 “さくらんぼキッス~爆発だも~ん~사쿠란보키스~폭발이지롱”을 개사한 “みれにあむキッス~Meだも~ん~(밀레니엄키스~ Me지롱~)“ 을 주제곡으로 삼고 있다.
이 노래는 이 무비의 인기에 힘입어 현재 한국 노래방에도 원곡 사쿠란보키스가 들어와 있다.(태진 질러 노래방 25865 번 곡)
6. 공식 엔딩 ✎ ⊖
트러블 윈도우즈 오프닝이 등장한 후 후타바에서 곧 많은 관련 플래쉬 무비가 등장했었고, 그 중 엔딩 감각으로 제작되었던 무비들도 제작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은 제노사가의 이미지 앨범에 포함된 보컬 “ふたりのぜのぴったん두사람의 제노비땅”을 개사한 “ふたばのOSたん후타바의OS땅”이 공식 엔딩송으로 설정되었다.
이 역시 넷상에서 동인들이 제작한 것으로, 분위기 등이 경쾌하고 밝아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받아 공식으로 인정을 받았다.
이 역시 넷상에서 동인들이 제작한 것으로, 분위기 등이 경쾌하고 밝아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받아 공식으로 인정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