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넥스32 위키에서 가져왔으며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Mdir은 DOS 시절 사용되던 파일관리기 프로그램으로, 기본적으로는 ‘도스쉘’등과 비슷한 그래픽 쉘 프로그램이다.

약칭은 M, 발음상 엠이지만 대.무 (대문자이므로 무효)이다. 파일리스트를 출력하는 DOS 명령어 ‘dir’에 실행하기 좋은 위치에 있는 키를 골라서 ‘M’을 붙인것으로, ‘엠 디 아이 알’이라고 읽는다. 통칭은 앞서 말했듯 ‘M’.

목차

1. 역사
2. 구성 프로그램
3. 사용환경
4. 제한사항
5. 압축파일 지원
6. 트리비아
7. 외부

1. 역사

원래는 1991년 경 제작자인 최정한 씨가 여자친구가 컴퓨터 쓰기를 어려워해서 만든 프로그램이었다고 하며, 때문에 초보자를 위한 배려가 많은 사용자 친화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Ctrl을 누르면 단축키 변경되는 것이 일일이 표시된다거나…) 마우스가 연결되어있다면 마우스로도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DOS 명령어를 전부 외우지 못하는 초보자에게는 구원과도 같은 프로그램이었다.

일반 공개판은 기본적으로는 쉐어웨어로, 개발자에게 등록하는 방법 등이 포함되어있긴 하지만 사용기간에 특별히 제한을 두거나 하진 않아서 등록해서 사용한 사람은 많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등록을 하면 실행시 Mdir 로고화면이 뜨지 않고, 일부 기능이 추가로 지원되는 등의 차이가 있었다.

방향키와 단축키를 조합한 간단한 조작계와 확장자 연결이나 프로그램 연결실행 방법을 지원함으로서 (초보자에게는) 복잡한 DOS 명령어를 탈피해 컴퓨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프로그램으로, 한국내에서는 윈도우95가 발매되어 흐름이 윈도우 체제로 전환될때까지 필수 프로그램으로 받아들여졌다.

윈도우95가 나온 이후로는 윈도우 자체가 포인트&클릭과 드래그&드롭으로 대표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지원되면서 Mdir의 필요성이 급감했다. DOS 명령어를 대신해서 간단히 프로그램과 파일 관리를 해주던 초보자 지향의 프로그램이 Mdir이었으나, 윈도우 상에서는 단축키를 중심으로 운용하는 Mdir이 매니아 지향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윈도우용으로 제작된 WinM이 DOS용 Mdir과 인터페이스나 기능적인 면에서 차이가 많아 오랜 사용자들이 낯설어한 점 등도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하기 힘들다.

Mdir은 초기 버전에서 메이저 업그레이드를 한 Mdir II, 한번 더 메이저 업그레이드를 한 Mdir III까지 나왔으며, 최종버전인 Mdir III 3.10이 1998년에 발표되었다. 이후 한빛인포텍에서 윈도우용 WinM을 만들었으나, DOS시절과 같은 큰 인기는 끌지 못했다. 2002년 발표된 4.5.591β버전을 끝으로 개발자인 최정한 씨는 퇴사했고, 2004년 한빛인포텍을 문을 닫아 현재는 더이상 업그레이드는 되지 않고 있다.

2. 구성 프로그램

Mdir 패키지에는 다음과 같은 개별 프로그램들이 내장되어있다. 개별프로그램으로도 작동하나, 기본적으로 Mdir 내에서 실행하여 이용하는 기능이다.
  • M.EXE : Mdir 기본 실행 프로그램
  • MSET.EXE : Mdir 설정 프로그램
  • VV.EXE : 뷰어 프로그램 “보라” - 완성형/조합형 한글을 지원하는 문서 보기 프로그램
  • HCONV.EXE : 텍스트 파일의 확장형/조합형 상호 변환 프로그램
  • DSCMAN.EXE : 하드 디스크 안에 쓸모 없는 파일을 지워 주고 정리해 주는 프로그램
  • MCD.BAT : 디렉터리의 트리를 나열하고 들어가는 프로그램 (노턴 유틸리티에서 나온 NCD와 비슷함)
  • MFF.EXE : 파일 찾기 프로그램
  • MF.EXE : 플로피 디스크 포맷 프로그램

3. 사용환경

  • IBM-PC/AT 100% 호환기종. 286, 386, 486, 펜티엄
  • MS-DOS 3.3 100% 호환 운영 체제, 윈도 3.1, 윈도 95.
  • HGC, EGA, VGA (CGA는 MSET과 보라가 지원하지 않음)
  • 기본 메모리 640 킬로바이트 이상 (적어도 265K 이상 필요)
  • 보조 기억장치 (하드 디스크에 설치 권장)
  • CD-ROM 드라이브 지원
  • LAN 환경 지원 (MSET에서 지정)
  • XMS, EMS, 디스크를 스와핑 사용함. 남은 공간 300K 이상
  • 한글/한자 바이오스에서 한글 메시지 지원.

4. 제한사항

도스용 최신 버전 기준으로 제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윈도 95 (MS-DOS 7.0) 이상에서만 긴 파일 이름 지원
  • 한 디렉터리에 최대 2000개까지의 파일 (메모리 부족시 500개까지)
  • 최대 1000개까지의 주석, 한 주석에 80글자까지
  • 한 드라이브에 최대 2000개까지의 디렉터리(MCD에서)

5. 압축파일 지원

Mdir은 압축 프로그램과 링크를 하여 압축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받아와서 출력해주는 기능이 있다. 압축을 풀 때는 개별 압축 프로그램의 위치를 지정해주어야만 작동한다.

지원하는 압축 파일은 아래와 같으며, 압축 해제를 위해서는 앞서 말했듯 개별 프로그램의 위치를 지정해야만 한다.
  • LZH, ICE, ZIP, ARJ, ARC, OMP, ZOO, SQZ, RAR, UC2, HPK, ACE

6. 트리비아

최정한 씨가 Mdir을 만든 이유였던 ‘컴퓨터를 잘 못하는 여자친구가 쉽게 컴퓨터를 쓰게’해주는 것은, 성공했는지 확인할 수 없으나 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최정한 씨와 그 ‘여자친구’분은 결혼에 성공, 아들, 딸 낳고 잘 살고 계신 듯하다.

최정한 씨는 2002년 퇴사 후 2004 경에는 프로그램과 무관한 다른쪽 일을 하고 계시다는 정황이 알려졌으며, 소문에 따르면 프로그래머의 최종 테크트리인 ‘요식업’에 임하고 계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7. 외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