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넥스32 위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넥스32 위키에서 가져왔으며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eeeshutpages.s3-website-us-west-2.amazonaws.com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전기전자 기술자 협회)는 전기전자공학 전문가들의 국제조직이다. 각종 전기전자 기술분야의 방향성에대한 정리와 표준안을 정리하여 업계의 흐름을 공통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집중이 가능하도록 돕는것을 목표로 한다. 비영리 법인으로 분류되며, 넥스 위키에 회사 항목에 포함되어있긴 하지만, 회사는 아니고 일종의 표준안 독립단체에 가까우며 기본적으로는 이익단체가 아니다. 굳이 말하자면 학회에 가까운 분위기에 가깝게 이해될 수 있겠지만, 각종 기업과 이익단체들의 멤버들의 입김도 강하기 때문에 결코 학문을 연구하는 학회와도 그 성질이 다르다.
본사는 미국의 뉴욕에 위치하고 있으며 150개국에 40만 명 이상의 회원으로 구성된 전기전자공학에 관한 최대 기술 조직이다. 전기전자 기술 관련 국제표준안을 비롯한 문제의 조정, 제정, 관리를 위한 포럼으로서의 역활을 하고 있다.
기관명이 독특하다보니 말도 많고 탈도 많은데, 서양에서는 읽을 때는 ‘I-Triple-E(아이 트리플 이)‘라고 발음하며, 국내에서는 보편적으로 ‘I-E-E-E(아이-이-이-이)‘라고 다 읽거나, 아예 빼고 읽어버린다. 어차피 기관명을 부를 일은 거의 없고 대부분 규격명 때문에 부르는 것이라 빼놓고 불러도 큰 지장이 없기 때문. 예를 들어서 무선랜을 지칭하는 ‘IEEE 802.11’ 규격은 다들 ‘802.11’규격으로 부르지 IEEE를 포함하지 않는 식이다. IEEE1394 규격을 1394로 부르는 것도 마찬가지 흐름이다. 기관명을 부를 땐 ‘전기전자 기술자 협회’로 부르는게 가장 무난하다.
1. 역사 ✎ ⊖
IEEE는 1963년 전파공학자 협회(IRE, Institute of Radio Engineers, 1912년 설립)와 미국 전기공학자 협회(AIEE, Americ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1884년 설립)를 합병하여 설립되었다.
AIEE는 전화 및 통신 기능, 빛, 전력 관련 시스템을 전문으로 하는 곳이었고, IRE는 라디오를 비롯한 전파 관련이 전문인 집단이었는데, 특별히 두 집단을 나누는 명확한 경계가 없다보니 1930년대 즈음에는 전문분야와 크게 관계없이 기술자들은 양쪽의 협회에 모두 가입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고 한다.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두 협회는 무의미한 경쟁이 가속화 되는 것을 깨닫고 1961년 양 측의 수장이 만나 협의를 시작하였고, 1963년 현재의 IEEE로 단일 합병 되었다.
역사의 길이가 길이인만큼 IEEE 회원 중에는 전기전자, 컴퓨터과학뿐만 아니라 물리학, 수학자 등의 기초과학분야의 사람들과 물론이고 각종 기업, 정치인 등이 소속된 거대 집단이 되었다.
이후 영향력이 넓어지면서 전 세계의 다양한 국가에서 IEEE의 멤버가 되어 표준 제정등에 참여하면서 전 세계에서 인정받는 최대 규모의 전자 전기 관련 국제 표준 제정 기관이 되었다.
AIEE는 전화 및 통신 기능, 빛, 전력 관련 시스템을 전문으로 하는 곳이었고, IRE는 라디오를 비롯한 전파 관련이 전문인 집단이었는데, 특별히 두 집단을 나누는 명확한 경계가 없다보니 1930년대 즈음에는 전문분야와 크게 관계없이 기술자들은 양쪽의 협회에 모두 가입하는 형태가 대부분이었다고 한다. 2차 세계대전을 거치면서 두 협회는 무의미한 경쟁이 가속화 되는 것을 깨닫고 1961년 양 측의 수장이 만나 협의를 시작하였고, 1963년 현재의 IEEE로 단일 합병 되었다.
역사의 길이가 길이인만큼 IEEE 회원 중에는 전기전자, 컴퓨터과학뿐만 아니라 물리학, 수학자 등의 기초과학분야의 사람들과 물론이고 각종 기업, 정치인 등이 소속된 거대 집단이 되었다.
이후 영향력이 넓어지면서 전 세계의 다양한 국가에서 IEEE의 멤버가 되어 표준 제정등에 참여하면서 전 세계에서 인정받는 최대 규모의 전자 전기 관련 국제 표준 제정 기관이 되었다.
2. 회원제도 ✎ ⊖
IEEE의 회원은 크게 6종류로 구분하고 있다. 상급회원으로 올라가는데는, 등급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승급을 신청하고, 승급심사를 거쳐 승인이 나면 승급하게 된다.
그 외에 65세 이상이 넘어가면 기존 등급에서 빠져나와 은퇴처럼 명칭 형식으로 전환된다. 동료 회원(Fellow)은 ‘일생의 동료(Life fellow)', 그외 등급은 ‘일생의 멤버(Life member)‘로 구분해 부른다. 기본적으로는 100세 까지를 연한으로 두고 있다.
- 학생 회원 (Student = S) : 대학 학부생, 대학원생에게 부여되는 회원 자격. IEEE 지정하는 학과목을 일반 학업의 50% 이상 비율을 이수해야 인정받을 수 있다.
- 준회원 (Associate = A) : 일반 회원의 조건을 충족하지는 못하지만 IEEE의 참여 분야에 관심을 가진 사람에게 부여되는 등급.
- 일반 회원 (Member = M) : 대체로 학부, 학사 자격에 준하는 자격을 가지거나 IEEE 관련분야에 6년 이상 재직한 사람에게 부여되는 등급.
- 상급 회원 (Senior Member = SM) : 10년 이상 IEEE와 관련된 전문분야에 종사하고, 기간중 5년 이상 중요한 업적에 종사한 사람에게 부여되는 등급.
- 동료 회원 (Fellow = F) : 등급 중 최고 등급. 연속 5년 이상 회원 경력이있는 상급 회원으로 현저한 업적을 올린 사람의 회원에게 부여되는 등급. 회원이 직접 신청할 수 없고, 동료 등급 이상의 회원의 추천으로만 부여가 가능하다.
- 명예 회원 (Honorary Member = HM) : IEEE 회원이 아니지만 관련 분야에서 커다란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부여되는 명예 직위. 내부 추천 후 심사에 따라 수여된다.
그 외에 65세 이상이 넘어가면 기존 등급에서 빠져나와 은퇴처럼 명칭 형식으로 전환된다. 동료 회원(Fellow)은 ‘일생의 동료(Life fellow)', 그외 등급은 ‘일생의 멤버(Life member)‘로 구분해 부른다. 기본적으로는 100세 까지를 연한으로 두고 있다.
3. 한국 ✎ ⊖
- IEEE Seoul Section
-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and Future Network
-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etwork Infrastructure and Digital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