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DNA(디옥시리보 핵산, DeoxyriboNucleic Acid) 는 기관의 발달과 기능에 관련한 유전 정보를 암호화하는 물질이다. DNA는 당과 인산, 염기로 구성된 핵산의 일종이다. 거의 대부분의 DNA는 2중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두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역평행적 구조를 이루고 있다.

목차

1. 역사
2. 복제
3. 영상

1. 역사

DNA가 유전 물질임을 밝히는 데에는 여러 학자들의 노력이 필요했다. 1928년 그리피스의 형질 전환 실험이 DNA의 기능과 관련된 본격적인 실험으로 알려져 있다.

1950년 샤가프는 생물의 DNA 내에 퓨린 계열 염기인 A, G의 수가 피리미딘 계열 염기인 C, T의 수가 같다는 사실을 밝혀냈고, 이것을 '샤가프의 법칙'이라고 부른다. 프랭클린, 윌킨스 등은 1952년 DNA 분자의 X선 회절 사진을 얻어 DNA가 나선형 구조임을 밝혀냈으며, 왓슨과 크릭은 샤가프의 법칙과 프랭클린의 연구 자료를 토대로 DNA가 2중 나선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2. 복제

DNA 복제를 위해서는 헬리케이스가 염기 간 수소결합을 끊는 것부터 시작된다. 이 복제 원점부터 2중 나선이 풀리고 3'말단의 OH기를 제공하는 프라이머가 형성되어 5'에서 3' 방향으로 복제가 진행된다.

DNA가 풀려 두 가닥에서 복제가 진행되면서 한쪽은 복제 방향성으로 인해 불연속적인 복제를 보이는 가닥이 있는데, 이 가닥에서 복제된 여러 DNA 절편를 오카자키 절편으로 부른다. 다른 가닥에서 연속적으로 복제되는 가닥을 선도 가닥이라고 부른다.

3. 영상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오메가에서 가져왔으며 CC BY-NC-SA 3.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