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Credens justitiam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넥스32 위키에서 가져왔으며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redens justitiam
한국어명정의를 믿으며
수록작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
수록앨범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 OST1, 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 뮤직 콜렉션
발매일2011년 1월 7일
작사카지우라 유키(梶浦由記)
작곡
편곡
부른이이토 에리 (伊東恵里), 카이다 유리코(貝田由里子)
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에 삽입된 토모에 마미의 이미지송이다. 토모에 마미의 전투음악이며, 동시에 캐릭터 이미지 송으로, 화려한 그녀의 전투와 외향을 반영한 곡이다. 제목은 라틴어로, 영어로 번역하면 ‘Believing in Justice’, 즉 ‘정의를 믿으며’라는 뜻이 된다. 어떤의미로 가장 절망속에서 싸우면서도 동시에 유일하게 정의감으로 싸우는 마법소녀인 토모에 마미의 심상을 가장 잘 반영한 느낌의 곡이기도 하다.

화려한 마미의 전투와 어우러져 처음 흘러나온 이 곡은 많은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극장판으로 편집된 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시작의 이야기에는 일본어 가사가 붙은 未来(미래) : 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로 편곡되어 재사용되기도 할 정도로 인기 높은 곡이었다.

제목은 라틴어이지만 노래 가사는 라틴어가 아니라 전형적인 카지우라 유키(梶浦由記) 특유의 조어. 통칭 카지우라어를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가사 자체는 번역이 불가능. 가사 의미에 대해서는 마마마의 대 히트에 힘입어(?) 엄청나게 문의가 들어왔는지 이례적으로 카지우라 유키가 트위터를 통해서 직접 가사에 의미가 특별히 부여되지 않았다고 밝혔을 정도.(1)

노래를 담당한 것은 팬저 드래군 시리즈의 엔딩 보컬곡으로 넥스에서도 잘 알려진 이토 에리가 메인을, 카지우라 유키와는 꽤 오래동안 호흡을 맞춰온 카이다 유리코가 코러스를 담당했다.

원래는 OST상에서는 발음표도 공개되지 않았으나, 카지우라 유키 라이브 Vol.7 앨범 팜플렛에 아래의 발음이 실려 공식 공개되었다.

목차

1. 영상
2. 가사

1. 영상


2. 가사

solti ola i
(쏠티 올라 이)

amaliche cantia masa estia
(아말리체 칸티아 마사 에스티아)
e sonti tolda i
(에 쏜티 톨라 이)

emalita cantia mia distia
(에마리따 칸티아 미아 디스티아)
a litia dista
(아 리띠아 디스타)

somelite esta dia
(쏘메리떼 에스타 디아)

a ditto i della
(아 디또 이 델라)

filioche mio
(필리오체 미오)

solti tola
(쏠티 톨라)
solti ola i
(쏠티 올라 이)

amaliche cantia masa estia
(아마리체 칸티아 마사 에스티아)

e sonti tolda i
(에 쏜티 톨다 이)

emalita cantia mia distia
(에말리따 칸티아 미아 디스티아)
alita della
(알리따 델라)

maliche sonta dia
(말리체 쏜타 디아)

mia sonta della
(미아 쏜타 델라)

i testa mia
(이 테스타 미아)

testi ola
(테스티 올라)

solti ola
(쏠티 올라)
solti ola i
(쏠티 올라 이)

amaliche cantia mia dia,
(아말리체 칸티아 미아 디아,)

dia
(디아)

(1) Credens justitiam은 이탈리아어 아니예요. 조어입니다. 뭔가 자꾸 메일로 질문하는 분이 많아서. 마도카 마기카의 BGM에 의미가 있는 가사는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