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넥스32 위키에서 가져왔으며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1.3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 문서의 원본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본의 게임 등급 기관으로, 일본 내에서 발매되는 비디오 게임의 내용 및 표현을 심의하여 등급을 매기는 민간 심의 기구로, 2002년 7월 설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원 명칭은 특정비영리활동법인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레이팅 기구(特定非営利活動法人 コンピュータ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レーティング機構, Computer Entertainment Rating Organization)로서, 약칭으로 CERO가 되었다. 표기는 세로지만 구조상 발음이 강해져 ‘쎄로’라고 읽는다.
일반적으로는 기구가 아니라 CERO에서 매기는 ‘등급’ 그 자체를 지칭할 때 사용된다.
1. 상세 ✎ ⊖
일본의 게임업계는 기본적으로 컨텐츠 생산자에게 제약을 가하지 않는 사회적 문화적 특성상 거의 아무런 제약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단지 가정용 게임기의 경우 타겟이 어린이 및 청소년인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각각의 게임기 개발사가 작성한 등급 조건에 맞춰 각자의 등급이 만들어지는 형식이었다. 그러나 각 플랫폼 홀더별로 제약 조건이 다른 탓에 어느 기종에서는 18금 등급의 게임이 어느 기종에서는 15금 등급으로 나오는 등 일관성이 없는 상황이 펼쳐졌고, 등급을 매기는 것 외에는 어떠한 제약도 없는 형태라 사실상 높은 등급의 게임이 판매량에서 더 이득을 얻게되는 등 불합리한 상황이 펼쳐지는 등 부작용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에 2002년 6월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협회(CESA)에서 설립한 것이 이 CERO 등급으로, 기종과 무관하게 공평한 기준으로 폭력적인 면, 성적인 면 등으로 분야별로 나누어 등급을 매기며, 이것을 종합하여 총 5개의 등급을 매기게 된다.
이전의 플랫폼 홀더가 등급을 매기던 시절과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등급을 매기는 주체가 바뀐 것도 있지만 이 등급에 대한 각각의 제약또한 생겨난 점이다. 등급이 높다 해도 자사 기기로 나오는 게임의 홍보를 막기에는 무리가 있었던 플랫폼 홀더 관리 시절과 달리 CERO는 제3자의 입장이기 때문에 제재도 가능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Z등급을 받은 게임은 공중파 방송 및 전연령 잡지 등에 광고 및 홍보가 금지되며, 일반 매장에 플랜카드나 일정 사이즈 이상의 포스터 부착이 금지된다.
CERO 등급을 받지 않는다고 게임을 발매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CERO 등급을 받지 않을 경우 사실상 일반 매장(성인게임샵이나 동인샵 등을 제외하고) 판매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유통경로가 거의 막혀버리기 때문에 준 강제성이 강하다. (물론 이런걸 무시하고 파는 곳도 적지 않아 문제가 되기도 한다)
참고로 성인용 게임은 CERO 등급을 받지 않는다. 어차피 CERO Z등급이 확실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일본의 경우 CERO 등급과 무관하게 성인용 매체에 대한 광고 및 판매에대한 자율적 판매규율이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 대신 성인용 게임의 자체 규제는 일단 CERO보다 역사가 긴 소프륜과 경쟁 기관인 미디어륜에서 담당하고 있다. (소프륜과 미디어륜의 심사를 거치지 않은 작품은 마찬가지로 유통사에서의 유통을 막도록 힘쓰고 있다)
이에 2002년 6월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협회(CESA)에서 설립한 것이 이 CERO 등급으로, 기종과 무관하게 공평한 기준으로 폭력적인 면, 성적인 면 등으로 분야별로 나누어 등급을 매기며, 이것을 종합하여 총 5개의 등급을 매기게 된다.
이전의 플랫폼 홀더가 등급을 매기던 시절과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등급을 매기는 주체가 바뀐 것도 있지만 이 등급에 대한 각각의 제약또한 생겨난 점이다. 등급이 높다 해도 자사 기기로 나오는 게임의 홍보를 막기에는 무리가 있었던 플랫폼 홀더 관리 시절과 달리 CERO는 제3자의 입장이기 때문에 제재도 가능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Z등급을 받은 게임은 공중파 방송 및 전연령 잡지 등에 광고 및 홍보가 금지되며, 일반 매장에 플랜카드나 일정 사이즈 이상의 포스터 부착이 금지된다.
CERO 등급을 받지 않는다고 게임을 발매할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CERO 등급을 받지 않을 경우 사실상 일반 매장(성인게임샵이나 동인샵 등을 제외하고) 판매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유통경로가 거의 막혀버리기 때문에 준 강제성이 강하다. (물론 이런걸 무시하고 파는 곳도 적지 않아 문제가 되기도 한다)
참고로 성인용 게임은 CERO 등급을 받지 않는다. 어차피 CERO Z등급이 확실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일본의 경우 CERO 등급과 무관하게 성인용 매체에 대한 광고 및 판매에대한 자율적 판매규율이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 대신 성인용 게임의 자체 규제는 일단 CERO보다 역사가 긴 소프륜과 경쟁 기관인 미디어륜에서 담당하고 있다. (소프륜과 미디어륜의 심사를 거치지 않은 작품은 마찬가지로 유통사에서의 유통을 막도록 힘쓰고 있다)
2. 등급 ✎ ⊖
2.1. 기본 ✎ ⊖
CERO의 등급분류는 아래와 같이 총 5개의 구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CERO A
CERO B
CERO C
CERO D
CERO Z
CERO A
- 전연령 등급.
- 한국 게임등급 ‘전체이용가’에 해당
- ESRB EC / E 등급에 해당
- PEGI 3 등급에 해당
CERO B
- 12세 이상 등급
- 한국 게임등급 ‘12세 이용가’에 해당
- ESRB E10+ 등급에 해당
- PEGI 7 등급에 해당
CERO C
- 15세 이상 등급
- 한국 게임등급 ‘15세 이용가’에 해당
- ESRB T 등급에 해당
- PEGI 12 등급에 해당
CERO D
- 17세 이상 등급
- ESRB M 등급에 해당
- PEGI 16 등급에 해당
CERO Z
- 18세 미만 금지 등급 (규제 대상)
- 한국 게임등급 ‘청소년이용불가’에 해당
- ESRB AO 등급에 해당
- PEGI 18 등급에 해당
2.2. 컨텐츠 ✎ ⊖
2004년 4월 이후로 CERO에서 추가로 매기고 있는 등급으로, 각각의 파트에대한 판정을 받으면 게임 패키지 뒤쪽에 표기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이는 일정 등급 이상의 게임이라 할지라도 게임 내에 포함된 컨텐츠에 따라서 플레이어가 선별적으로 게임을 즐기고 말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에대해 구매 전에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단 CERO A등급(전연령 게임)에는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
연애
섹슈얼
폭력
공포
도박
범죄
음주와 흡연
약물
언어 및 기타
연애
- 이성애, 동성애 등 연애요소가 포함된 경우 표시. 연애물 뿐만 아니라 액션 게임의 스토리에 연애 컨텐츠가 있어도 표기.
섹슈얼
- 성적인 흥분요소가 포함된 경우에 표시.
- 남성이나 여성의 수영복 차림, 속옷차림을 비롯한 노출도가 높은 복장이나 성적인 행위에대한 묘사 및 암시가 포함된 경우에 표기.
폭력
- 싸움이나 전투, 고문 등 폭력적인 요소가 포함된 경우에 표시.
- 적을 공격하는 액션 게임 등에는 빠지지 않으며, 일부 유혈이 포함된 스포츠물(프로레슬링 등)에도 표기.
공포
- 공포감을 조성하는 요소가 포함된 경우에 표시.
- 영상적으로 공포물을 표방하는 좀비물, 유령물 등의 내용 뿐만 아니라 추리물이나 수사물 등에 텍스트로 묘사되어 내용적으로 공포를 조장하는 작품에도 표기된다. 또한 액션물에서 묘사적으로 잔혹하거나 고어적인 묘사가 포함되면 또한 표기된다.
도박
- 도박 혹은 그에 준하는 요소가 포함된 경우에 표시.
- 작중에 도박장-주로 카지노 등-에 들어가거나 파칭코, 슬롯머신 등의 게임이 미니게임 형식으로 포함된 경우에 표기된다. 단지 큰 영향력 없이 단순 미니게임 형식으로 포함된 경우에는 표기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도 많다.
범죄
- 게임의 주인공이 범죄행위에 준하는 행위를 하는 컨텐츠가 포함된 경우에 표시.
- ‘악당’이 행하는게 아니다. 어디까지나 주인공이 범죄행위를 벌이는 경우에 표기된다. 주인공이 범죄행위를 벌임으로서 불법행위가 일상행위로 인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폭력이나 도박이 포함된 게임에도 이게 붙어야 하는거 아닌가…)
음주와 흡연
- 작중 미성년자의 음주와 흡연 요소가 포함된 경우에 표시.
- 성년의 음주와 흡연은 표기하지 않아도 된다.
- 국가에 따라 음주 및 흡연 연령이 성년이 아니어도 되는 경우가 있으나 CERO 기준에서는 모두 불허.
약물
- 마약, 각성제, 기타 합성약물이나 가상의 약물 및 그에 준하는 약물성 물질이 표현될 경우 표시.
- 의료 등의 이유로 몰핀 등이 사용될 때도 표기한다.
언어 및 기타
- 욕설 및 은어 등 언어폭력 및 차별을 조장할 수 있는 요소가 포함된 경우 표시.
- 비속어, 욕설, 저속어, 차별이 포함된 은어 및 외국어, 혹은 반사회적 사상이나 언동을 묘사한 내용이 포함된 경우에 표기.
2.3. 이전 세대와의 비교 ✎ ⊖
위에서도 언급했듯 CERO 등급은 기본적으로 이전 비디오 게임기 사업자가 운영하던 게임 등급의 발전형이다. 때문에 이전세대의 연령등급을 다음과 같이 대체했다. 굳이 비교하자면 세가쪽의 등급제와 가장 유사하다.(18추와 18금을 구분하는 자체가 세가 뿐이기도 하고…)
현재는 Z등급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게임들은 Z등급이 나오지 않도록 등급제에 맞춰 삭제를 해서 심의를 받는 경우가 많다.
- 전연령 등급 → CERO A
- 12세 이상 추천 → CERO B
- 15세 이상 추천 → CERO C
- 18세 이상 추천 → CERO D
- 18세 미만 금지 → CERO Z
현재는 Z등급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게임들은 Z등급이 나오지 않도록 등급제에 맞춰 삭제를 해서 심의를 받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