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가져온 문서/오메가
이 문서는 유머 문서입니다.
유머가 가미된 문서로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유머가 가미된 문서로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0은 전 우주를 통틀어서 최우선적으로 적용되는 진리이다.
1. 증명 ✎ ⊖
아주 많은 방법으로 증명이 가능하다. 1≠0이라는 증명은 모두 0으로 나누면 안 된다는 조건을 사용했기 때문에 잘못된 증명이다.
아래는 그 대표적인 증명 중 하나이다.
x=1 이라고 하자. 여기에서 양변에 -1을 곱하면
-x = -1
이 된다. 여기서 양변에 x²을 더하면
x² − x = x² − 1
양변을 인수분해하면
x(x−1) = (x+1)(x−1)
양변을 (x−1)로 나누면
x = x + 1
\\therefore 1=0 ■
아래는 그 대표적인 증명 중 하나이다.
x=1 이라고 하자. 여기에서 양변에 -1을 곱하면
-x = -1
이 된다. 여기서 양변에 x²을 더하면
x² − x = x² − 1
양변을 인수분해하면
x(x−1) = (x+1)(x−1)
양변을 (x−1)로 나누면
x = x + 1
\\therefore 1=0 ■
2. 이 정리의 적용 ✎ ⊖
이 정리는 1+1=0임을 증명하는 것에도 쓰인다. 1=0이므로 1+1=0+0=0이다 라고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태양계 제 3행성 지구에서는 고대 그랬어의 또라이 수학자 "나수학시러스"에 의해 1=0이라는 논리도 부정당하고 있고, 우주에서 유일하게 1+1=2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태양계 제 3행성 지구에서는 고대 그랬어의 또라이 수학자 "나수학시러스"에 의해 1=0이라는 논리도 부정당하고 있고, 우주에서 유일하게 1+1=2라고 주장한다.
3. 이 정리의 확장 ✎ ⊖
1=0 이므로 2=1 이고, 2=1=0 이므로 2=0이다. 그러므로 사실 모든 실수는 같은 수가 된다.
복소수에서도 확장이 가능하다. i=1i=0i=0이 되므로 임의의 복소수 a+bi는 a+bi=0+0=0 이 되어 결국 모든 복소수는 같다.
이에 대해서 안드로메다 제 27항성 제 3행성과 시리우스성 제 17행성에서의 의견은 엇갈리는데, 전자는 "ㅑ=1dlek."라고 하는데 반해서, 후자는 "I+!이아니따>"라고 주장하고 있다.
혹시 몰라 둘중 한 별에도 나수학시러스같은 유사수학자가 있을지.
복소수에서도 확장이 가능하다. i=1i=0i=0이 되므로 임의의 복소수 a+bi는 a+bi=0+0=0 이 되어 결국 모든 복소수는 같다.
이에 대해서 안드로메다 제 27항성 제 3행성과 시리우스성 제 17행성에서의 의견은 엇갈리는데, 전자는 "ㅑ=1dlek."라고 하는데 반해서, 후자는 "I+!이아니따>"라고 주장하고 있다.
혹시 몰라 둘중 한 별에도 나수학시러스같은 유사수학자가 있을지.
4. 적용법 ✎ ⊖
너의 나이는 몇살이라고 해도 상관이 없다. 모든 실수는 같은 수이기 때문이다.
너의 몸무게와 키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180cm에 47kg라고 해도 되고, 18cm에 470kg라고 해도 된다.
너의 기말고사 성적도 조작이 가능하다. 0점은 100점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너의 몸무게와 키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180cm에 47kg라고 해도 되고, 18cm에 470kg라고 해도 된다.
너의 기말고사 성적도 조작이 가능하다. 0점은 100점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오메가에서 가져왔으며 CC BY-NC-SA 3.0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